사진 잘 찍는 법. 화이트밸런스를 이해하자.

요즘 나오는 DSLR의 경우 화이트밸런스 조정이 매우 쉽다. 오토부터 각 상황에 맞는 값이 미리 정해져 있다. 그래서어떤 상황에서 어떤 값이 사용되는지 요약해봤다.

AWB : 자동 화이트 밸런스, 기존광의 색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색온도를 교정해준다. 일부 모델의 경우 자동 화이트밸런스가 이미지를 지나치게 파랗거나 붉게 만들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맑은 날 : 태양광 아래서 5500k정도로 맞추어준다. 맑고 직사광선이 있는 날 사용된다.

흐린날 : 구름 낀 날, 색온도가 6000k로 파란빛을 없애주는 역할이다.

플래시 : 플래시 조명과 색온도의 균형을 맞추어준다.

형광등 : 형광등 빛의 초록빛을 없애준다. 따듯한 색조의 하얀색에 적용되도록 맞추어져 있다.

텅스덴 : 노란 텅스텐 불빛에 맞추어져 있으며 3200k로 값이 낮다.

사용자임의 : 각 상황에 맞추어 직접 값을 조절한다. 간혹 인위적으로 붉거나 파랗게 조절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사진작가는 색온도에 대해 민감할 수 밖에 없다. 같은 피사체라 할지라도 어떠한 색감으로 잡아내는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그래서 좋은 사진가들은 색과 보색, 대비 등의 감각이 매우 훌륭하다. 늘 공부하고 노력하는 거다. 색의 불균형을 알고 어떠한 색이 배제되어야 하는지 아는 작가의 사진은 늘 안정감 있고 우리에게 자극을 준다. 그에 반해 있는 그대로 색을 잡지 못하는 작가들의 사진은 어딘가 모르게 불편하다. 이는 사진에서 중요한 주제부각과도 이어지는데, 필요 없는 부분까지 모두 부각이 되어버릴 때도 있기 때문이다.

빛의 색조에 따른 보색.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삼원색이다. 이 세 가지 색을 똑같은 비율로 섞으면 하얀빛이 만들어지고, 어느 하나를 더하면 색조가 생겨난다. 즉 많이 섞은 색 쪽으로 불균형이 일어난다. 빛의 삼원색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지 않다. 색은 섞여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런 색의 관계를 색 삼각형 혹은 색 육각형이라 부른다. 이런 원리를 파악하고 보색 관계를 알고 있으면 사진에 원치 않는 색상을 보색을 이용해 제거할 수 있다. 인위적으로 색을 제거하는 게 아닌 보색을 이용한 제거는 훨씬 더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준다. 

이 포스팅은 정보공유와 더불어 제가 스스로 공부하고자 올리는 글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도 말했지만, 개념에 가까운 정보 글이기에 사진을 배우고자 하시는 분들은 참조만 하시면 될 거 같아요. 사실 화이트밸런스의 경우는 거의 AWB나 사용자 지정으로 사용하는데, 중간중간에 있는 다른 기능들도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 남깁니다. 보색의 경우 전문적으로 색을 공부해야 될 필요성이 느껴져서 요즘 색 공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나 화가가 아닐지라도 사진 역시 색과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서, 구도, 연출, 색, 노출 앞으로도 배울 게 너무 많습니다. 계속해서 제가 공부하는 내용을 요약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