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튜디오임프레스의 경화필름입니다. 저희가 유튜브 채널 준비하며, 제 개인채널 성장기도 올리고 지금 촬영장소인 스튜디오도 새로 구하고 정말 정신없이 보내고 있습니다. 1주일에 2틀정도는 만나 아이디어 회의도 하고 채널의 방향 컨셉, 첫촬영은 어떤식으로 진행될지 늘 구상하는 와중에!
유튜브만 답은 아니다 싶어, 블로그나 인스타 그리고 또 다른 플랫폼들까지 기웃거리고 있네요.
블로그는 일단 1일1포스팅으로 진행하고, 인스타는 지금 껏 해오던것처럼 하려고 합니다. 그 외 뭐가 더 없을까 기웃거리던 와중, 네이버TV를 알게되었고 호기롭게 개설하려 했으나 저는 네이버 블로그가 활성화되지 않은 탓인지 개설되지 않더군요. 정확한 심사기준은 잘 모르지만, 에드포스트를 달고있는 채널같은 경우 바로 개설이 가능한 듯 보였습니다.
다행이 임프레스 대표님께서 파워블로그이시기에, 채널 개설이 되어있는 상태더군요!
https://tv.naver.com/search?query=%EC%9E%84%ED%94%84%EB%A0%88%EC%8A%A4%ED%95%84%EB%A6%84&page=1
네이버TV
동영상을 감상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
tv.naver.com
위 링크 클릭 시 임프레스 필름 구경가능하세요!
“유튜브와 비슷하지만, 이미 포화상태인 유튜브와 비교해 훨씬 성장가능성은 크다.”
조만간 한번 다룰테지만, 제 채널은 망했어도 그 동안 함께 작업해오며 옆에서 보고 느낀점이 있습니다. 유튜브는 레드오션이 통용되는 시장이 아니다. 비슷한 채널이 아무리 많더라도 퀄리티만 좋다면 언제든 떡상의 기회가 있는곳이기 때문이죠. 네이버TV는 어떨까요. 사실 아직 유튜브에 비해 작은시장은 맞습니다. 유튜브가 세계시장이라면 네이버는 국내시장 정도이죠. 하지만 검색률1위인 네이버 소속의 영상플랫폼이다 보니, 검색의 용이점 그리고 성장가능성은 더욱 높다 할수있습니다.
유튜브와는 그 사용의 궤를 달리해야 맞는 것 같습니다.
지금당장은 유튜브가 흥미, 재미의 이전 TV의 역할을 하는 매체라면
네이버는 정보전달이 아닌 광고, 홍보의 성격이 더욱 짙어 보입니다.
많은 파워블로거 혹은 인플루언서들이 홍보의 성격으로 많이 이용하고
또 홍보와 광고의 영역에서만큼은 많은 효과를 보입니다.
미국에 있는 시청자가 국내식당의 영상을 보고 밥을 먹으로 올까요.
서울에 있는 시청자가 부산에 맛집영상을 보고 밥을 먹으로 올까요.
전세계로 송출되는 유튜브보다는 그 타켓층을 좁게하여, 맞춤형 타켓으로 노리는 것이 네이버TV에는 가능하네요.
그동안 많은 마켓팅 전문가들이 타켓층을 노린 광고에 대해 입이 아프도록 설명했죠.
그리고 실제로 그 효과는 대단했습니다.
에드센스나 광고수익을 노리는 유튜브에서보다
홍보의 성격은 네이버가 더 잘맞는부분도 타켓층때문이죠.
사실 티스토리도, 네이버블로그와 비교하면 그 성격이 다르지 않나요?
에드센스의 광고효과를 노리고, 검색 노출 그리고 저품질의 스트레스에서 보다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티스토리
대신 구글의 선택을 받기위해 텍스트의 양을 신경써야되죠. 이는 유튜브와 비슷합니다. 구독자와 시청시간을 신경쓰며 수익창출을 위해 퀄리티마저 생각해야되는 유튜브죠. 홍보나 광고가 아닌 리뷰나 언박싱등이 주를 이루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정보성이 짙은 글이나 영상은 구글에서 아주 좋아하닌까요.
그에반해 네이버블로그는 조금 다릅니다. 주를 이루는 포스팅내용은 대부분 홍보나 광고의 역할을 띕니다. 그리고 거기에 소소한 일상얘기 늘 함께 올라오죠. 광고성글이나 영상을 싫어하는 구글과 다르게 네이버는 아주 큰 포용력으로 홍보성 글을 받아줍니다. 하지만 스팸이나 허위광고에 대한 제제역시 매우 엄격하죠.
하지만 타켓층을 노린 광고는 네이버에서의그 효율이 더 좋습니다.
“유튜브의 광고수익, 네이버에서도 가능합니다.”
유튜브 수익창출의 조건 다들아시죠?
구독 1000명에 시청시간 4000시간, 하지만 거기에 숨은조건이 하나 더 있습니다. 단순히 두조건만 맞춘다고 다 광고가 달리진 않더라고요. 컨텐츠의 내용 역시 중요합니다. 나레이션 없이 자막과 다른사용자들의 영상을 짜집기해서 구독자만 모은 계정들은 광고가 안달립니다. 유튜브에서 가장 중요한건 컨텐츠의 질과 내용입니다.
그에반해 네이버 TV의 조건은 조금 더 완화되었습니다.
구독자300명에 시청시간 18,000분입니다. 유튜브의 알고리즘간택을 못받아 지치신 분들은 잠깐 네이버TV를 통해 쉬었다 가시는것도 좋을 듯 합니다. 유튜브에는 정보성 위주의 컨텐츠, 그리고 네이버에서는 일상브이로그나 맛집탐방등으로 꾸며보시는건 어떨까요.